전역 변수의 사용을 억제하는 방법

|

모던 자바스크립트 딥 다이브의 내용을 읽고 정리

내가 자바스크립트를 만져본거라고는 여러 강의를 따라쳐보는것과 혼자서 간단한 웹 사이트를 제작할때 뿐이였다.
그렇다보니 코드가 다소 짧아서 여태 전역변수의 충돌과 문제점들을 생각해본적이 없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며 든 생각이 현장에서는 분명 엄청난 스파게티 코드들로 구성되어있을것이 분명한데 그럼 전역 변수로인한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이들어서 전역 변수에대해서 정리하기로 했다.

전역 변수의 문제점

변수의 유효 범위가 크면 클수록 코드의 가독성은 나빠지고 의도치 않게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위험성도 높아진다. 대체로 어떤 문제점이 있을까?

  1. 긴 생명주기 전역 변수는 생명 주기가 길다. 따라서 메모리 리소스도 오랜 기간 소비한다.

  2. 스코프 체인 상에서 중점에 존재 전역 변수는 스코프 체인 상에서 종점에 존재한다. 이는 변수를 검색할 때 전역 변수가 가장 마지막에 검색된다는 것을 말한다.

  3. 네임스페이스 오염 자바스크립트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파일이 분리되어있어도 하나의 전역스코프를 공유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파일내에서 동일한 이름으로 명명된 전역 변수나 전역 함수가 같은 스코프 내에 존재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있다.


자바스크립트에는 이러한 전역 변수의 문제점이 도사리고있다. 이거를 억제하는 방법에는 몇가지 방법이있는데, 다음과 같다.

전역 변수의 사용을 억제하는 방법

먼저, 책에서는 전역 변수를 반드시 사용해야 할 이유가 없다면 가급적 지역변수 사용을 권장한다. 변수의 스코프는 좁을수록 좋다는 것이다.

이제 전역 변수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살펴보자

  • 즉시 실행함수

함수 정의와 동시에 호출되는 즉시 실행 함수는 단 한 번만 호출된다.
모든 코드를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싸면 모든 변수는 즉시 실행함수의 지역 변수가 된다.

(function(){
 var foo = 10; // 즉시 실행 함수의 지역 변수
}());

console.log(foo); ReferenceError: foo is not defined

이 방법을 사용하면 전역 변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라이브러리 등에서 자주 사용된다고 한다.

  • 네임스페이스 객체

전역에 네임스페이스 역할을 담당할 객체를 생성하고 전역 변수처럼 사용하고 싶은 변수를 프로퍼티로 추가하는 방법이다.

var MYAPP = {}; // 전역 네임스페이스 객체

MYAPP.name = 'Lee';

console.log(MYAPP.name); // Lee

더 나아가서 네임스페이스 객체에 또 다른 네임스페이스 객체를 프로퍼티로 추가해서 계층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var MYAPP = {}; // 전역 네임스페이스 객체

MYAPP.person = {
  name: 'Lee',
  address: 'Seoul',
};

console.log(MYAPP.person.name); // Lee

이 방법은 네임스페이스를 분리해서 식별자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지만, 네임스페이스 객체 자체가 전역 변수에 할당되므로 그다지 유용해보이지는 않는다.

  • 모듈 패턴

모듈 패턴은 클래스를 모방한다. 관련된 변수와 함수를 모아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싸 하나의 모듈을 만든다. 자바스크립트의 강력한 기능인 클로저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특징으로는 전역 변수의 억제는 물론 캡슐화까지 구현 할 수 있다는것이다.

✍캡슐화는 객체의 상태(status)를 나타내는 프로퍼티와 프로퍼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behavior)인 메서드를 하나로 묶는 것을 말한다. 캡슐화는 객체의 특정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감출 목적으로 사용하는데 이를 정보 은닉이라고한다.

대부분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는 클래스를 구성하는 멤버에 대해서 public,private,protected 등의 접근 제한자를 사용해 공개 범위를 지정하지만 자바스크립트는 위의 접근 제한자를 제공하지 않는다. 모듈 패턴은 전역 네임스페이스의 오염을 막는 기능은 물론 한정적이기는 하지만 정보 은닉을 구현하기위해 사용한다.

var Counter = (function(){
    // private변수
    var num = 0;

    // 외부로 공개할 데이터나 메서드를 프로퍼티로 추가한 객체를 반환한다.
    return{
        increase(){
            return ++num;
        }
        decrease(){
            return --num;
        }
    }
}());

// private 변수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console.log(Counter.num); // undefined

console.log(Counter.increase()); // 1
console.log(Counter.increase()); // 2
console.log(Counter.decrease()); // 1
console.log(Counter.decrease()); // 0

위 예제에서 즉시 실행 함수는 객체를 반환한다.
이 객체에서는 외부에 노출하고 싶은 변수나 함수를 담아 반환하는데(return{}), 이때 반환되는 객체의 프로퍼티는 외부에 노출되는 퍼블릭 멤버(public member)다.
외부로 노출하고 싶지 않은 변수나 함수는 반환하는 객체에(return{}) 추가하지 않으면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는 프라이빗 멤버가 된다.

  • ES6 모듈

ES6 모듈을 사용하면 더는 전역 변수를 사용할 수 없다.
ES6 모듈은 파일 자체의 독자적인 모듈 스코프를 제공한다. 따라서 모듈 내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더는 전역변수가 아니며 window 객체의 프로퍼티도 아니게된다.
script태그에 type=’module’ 어트리뷰트를 추가하면 로드된 자바스크립트 파일은 모듈로서 동작하게된다. 모듈의 파일 확장자는 mjs를 권장한다.

<script type='module' src='lib.mjs'></script>
<script type='module' src='app.mjs'></script>


이상으로 전역 변수로인한 문제점을 방지하는 방법들을 살펴봤다.
최근에 프로그래머스 자바스크립트 강의에서도 3번과4번의 패턴을 섞어서 강의를 진행하기도 했어서 3번과 4번 패턴이 가장 효율적으로 보인다.

되돌아가기(git revert,reset,restore)

|

코딩애플 강의를 보며 정리함

git restore

파일 하나 복구

파일 하나가 잘못되었을 때 ctrl + z 여러번 눌러도 되지만,
수정사항이 너무 많다면 명령어 하나로 처리할 수 있다.

git restore 파일명

이렇게 하면 최근 commit된 상태로 현재 파일의 수정내역을 되돌릴 수 있다.

git restore --source 커밋아이디 파일명

이러면 입력한 파일이 특정 커밋아이디 시점으로 복구된다.

git restore --staged 파일명

복구랑은 상관없지만, 특정 파일을 staging 취소할 수 있다.

git revert

commit 되돌리기

git revert 커밋아이디

그 커밋아이디에서 일어난 일만 취소해준다.

그림으로 예를들면 이렇게..

  • revert 할 때 동시에 여러개의 commit id 입력 가능
  • 최근 했던 commit 1개만 revert하고 싶으면 git revert HEAD하면 편리하다.
  • merge 명령으로 인해 새로 만들어진 commit도 revert 가능하다.

git reset

시간 되돌리기 프로젝트 망하면 쓰거나, 짧은 거리를 돌아갈 때 쓰자

git reset --hard 커밋아이디

입력하면 그 커밋이 생성될 때로 시간을 되돌려준다.
작업폴더 내의 파일도 그 시절로 돌아간다.

이미지로 예를 들면..

중요사항!!!!

  • 여러명이서 협업하는 리포지토리에는 reset을 쓰면 안된다.(갑자기 소스코드가 사라지는거니깐)
  • untracked 파일들은 (git add 안해놓은 파일들은) 사라지지않고 유지된다.
  • git clean 명령어 찾아서 쓰면 untracked 파일들도 다 지울 수 있다.

rest 옵션 설정 가능

git reset 뒤에 hard / soft / mixed 설정을 넣을 수 있다.

▲ a, b, c 파일을 만들면서 각각 commit을 했다..

git reset --hard d874b2b

이렇게 하면 a,b파일은 남아있고 c 파일이 삭제된다.

git reset --soft d874b2b

이러면 a, c파일은 남아있고 b 파일은 staging area에 남아있고

이제 commit 하거나 그럴 수 있다.

git reset --mixed d874b2b

이러면 a, c파일은 남아있고 b 파일은 staging 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제 git add 하고 commit 하거나 그럴 수 있다.

요약
reset은, 파일을 아예 지워버리는게 아니다.
검토하고 다시 commit 하고 싶으면 –soft/ –mixed 사용해보자.

merge 여러 방법과 브랜치 삭제방법 (3-way, fast-forward, squash, rebase)

|

코딩애플 강의를 보며 정리함

3-way merge

merge의 기본동작 방식이다.

브랜치에 각각 신규 commit이 1회 이상있는 경우,
merge 명령을 내리면 두 브랜치의 코드를 합쳐서 새로운 commit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데 이걸 3-way merge라고 부른다.

동작방식을 이미지화시켜보면 이렇다..

이미지

fast-forward merge

새로운 브랜치에만 commit이 있고,
기준이 되는 브랜치에는 신규 commit이 없는 경우 merge를 하게되면 fast-forward merge되었습니다. 라고 알려준다.

fast-forward merge란, 딱히 합칠게 없어서 신규브랜치를 보고, main 브랜치라고 하는거다.

브랜치 삭제

3-way, fast-forward 아무렇게나 merge해도
브랜치를 merge하고 나면 브랜치가 자동으로 삭제되진 않는다.

git branch -d 브랜치이름
git branch -D 브랜치이름

둘 중 하나를 입력하면 필요없는 브랜치를 삭제할 수 있지만, 약간의 차이가있다.

  • 병합이 완료된 브랜치 삭제시엔 -d
  • 병합하지 않은 브랜치 삭제시엔 -D

rebase and merge

강제 fast-forward merge

브랜치를 rebase 하고 나서 merge 하는것도 가능한데,

rebase란

rebase는 브랜치의 시작점을 다른 commit으로 옮겨주는 행위다.

  1. rebase를 이용해서 신규브랜치의 시작점을 main브랜치 최근 commit으로 옮기고

  2. fast-forward merge한다.

이런 방식으로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3-way merge 말고 강제로 fast-forward 하고 싶을 때

  2. 브랜치 그딴거 필요없이도 코드 잘짜는 고수같은 느낌을 주고 싶을 때



rebase and merge를 하고싶으면

  • 새로운 브랜치로 먼저 이동한다.
  • git rebase main 를 입력한다.
  • 그럼 브랜치가 main 브랜치 끝으로 이동하는데 그걸 fast-forward marge하면된다.
    예시)
git switch 새로운브랜치
git rebase main

git switch main
git merge 새로운브랜치

단점이있는데 브랜치끼리 차이가 너무 많으면 rebase하면 충돌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squash and merge

모든 브랜치를 3-way merge 해버리면 나중에 참사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런걸 방지하는 차원에서 rebase혹은, squash and merge를 하면된다.
이런 방법들을 쓰면 새로운 브랜치에 있던 commit들을 연결해주는게 아니라, 그걸 떼와서 main 브랜치에 붙여주기 때문에 참사를 걱정안해도 된다.

이런식으로 새 브랜치에 있던 코드변경사항들이 main 브랜치로 텔레포트한다.

git switch main
git merge --squash 브랜치명
git commit -m '메세지'

squash and merge 하는 법은 그냥 –squash 옵션을 추가하면 끝이다.

Q 어떻게 merge할 지 판단이 힘들때

A.
초보땐 squash 할지 말지 고민하지 말고 대충해라.

나중에 코딩노예로 취직하면 중요한 브랜치마다 merge 방법 가이드라인이 있다..

git에서 branch 만들기

|

코딩애플 강의를 보며 정리함

브랜치

branch는 프로젝트 복사본이라고 생각하자!

브랜치 생성

git branch 브랜치이름

방금 만든 브랜치로 이동

git switch 브랜치이름
  • 옛날엔 git checkout 브랜치명 이라고 했다.
  • 다시 메인 브랜치로 되돌아가고 싶으면 git switch main 입력. (설정에따라 main말고 mater일 수도 있다.)
  • git status를 입력해서 어떤 브랜치에 와있는지 알 수 있다.

branch와 commit내역을 한 눈에

git log --graph --oneline --all

branch 와 commit 내역을 한 눈에 그래프로 보고 싶으면 이거 입력해보자

브랜치 합치기(merge)

나눠져있는 브랜치 갈래들을 main 브랜치에 합쳐줄수 있다.

git switch main
git merge 브랜치명
  1. main/master 브랜치로 다시 이동하고,
  2. git merge 브랜치명 입력하면 합쳐진다.

EX) git merge coupon 이러면 coupon 브랜치의 코드들이 main/master브랜치에 합쳐진다.

(근데 보통 브랜치를 합치기전에 다른 개발자가 검토를하고 승인이떨어지면 합침)

파일 충돌

브랜치를 합칠때 master 브랜치와, 새로 생성했던 브랜치에서 같은 파일, 같은 줄을 수정했을 때 merge conflict가 발생한다.

이 경우 에디터로 해당 파일을 열어보면, 충돌 사항이 적혀있다.

이럴땐 당황하지말고 충돌되는 코드중 어떤 코드를 남길지 결정해서

git add 파일명
git commit -m '메시지'

입력해서 새로운 commit을 생성해주면 merge conflict 해결 + 브랜치 합치기가 완료된다.

협업시 branch는 유용하다.

여러명이서 동시에 똑같은 코드를 만질때,

  1. branch로 프로젝트 사본을 만들어서 개발을 진행한다.
  2. 테스트후 잘 되면, main branch에 합친다.

핵심 요약

브랜치 생성은 git branch 브랜치명

브랜치 이동은 git switch 브랜치명

브랜치 합치기는 main/master 브랜치로 이동한 뒤에 git merge 브랜치명

브랜치마다 commit 내역을 그래프로 보고싶으면 git log --graph --oneline --all

브랜치 합칠 때 conflict가 발생하면 파일열어서 수정하고 git add, git commit 하기

git diff

|

코딩애플 강의를 보며 정리함

gif diff

commit 하기 전에 이전과 현재 코드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고싶을때 쓰는 명령어다.

바로 전 commit과 현재 코드의 차이점을 비교해준다.
하지만 터미널의 한계로 차이점 보는게 힘들고, 설정을 따로 안해주면 엔터키나 스페이스바 변동사항도 다 알려주기 때문에 보통은 git diff를 쌩으로 사용하지 않는다고한다.

gif diff 명령어 목록

git diff 커밋id
  • 과거의 특정 commit과 현재 파일을 비교하고 싶을때 쓰는 명령어다.
    (커밋ID는 git log –oneline 이런거 입력하면 보이는 노란글자들임)
git diff 커밋id1 커밋id2
  • 과거의 특정 commit 2개 간의 차이점 비교도 가능함
git difftool

git difftool을 VSCode로 열고싶으면 git config –global diff.tool vscode
git config –global difftool.vscode.cmd ‘code –wait –diff $LOCAL $REMOTE’ 을 터미널에 차례로 2개 입력하면 된다.

  • diff만 쓸데보다 비주얼적으로 좀 더 낫다.
  • 현재 파일과 최근 commit의 차이점을 비교해준다.
git difftool 커밋id
  • 입력하면 현재 파일과 특정 commit의 차이점을 비교해준다.
git difftool 커밋id1 커밋id2
  • 특정 commit 2개의 차이점을 비교해준다.

에디터의 부가기능 사용

VSCode에디터 마켓에서 Gif graph 부가기능 설치

에디터의 부가기능을 사용하면, git diff 및 git difftool을 좀 더 편리하게 할 수있다.